홍보자료

셀마는 고객에게 신뢰할 수 있는 홍보 자료를 제공합니다.
다양한 정보와 자료를 통해 셀마의 경쟁력을 확인해보세요.

생활 소음ㆍ진동의 규제 기준

2024-12-14 19:11:13 조회수 38

생활 소음·진동 규제 기준 안내


소음·진동은 주변 환경과 작업자의 건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중요한 요소입니다.


이에 따라 관련 법령 및 기준을 준수하여 최적의 근무 및 생활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


당사는 아래와 같은 생활 소음·진동 규제 기준을 준수하며, 최상의 품질과 환경을 유지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고 있습니다.


■ 소음ㆍ진동관리법 시행규칙 [별표 8] <개정 2019. 12. 31.>

생활소음ㆍ진동의 규제기준(제20조제3항 관련)

1. 생활소음 규제기준

2023-11-10_오후_1-32-34.jpg


비고

1. 소음의 측정 및 평가기준은 「환경분야 시험ㆍ검사 등에 관한 법률」 제6조제1

항제2호에 해당하는 분야에 따른 환경오염공정시험기준에서 정하는 바에 따른다. 

2. 대상 지역의 구분은 「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」에 따른다. 

3. 규제기준치는 생활소음의 영향이 미치는 대상 지역을 기준으로 하여 적용한다. 

4. 공사장 소음규제기준은 주간의 경우 특정공사 사전신고 대상 기계ㆍ장비를 사용하는 작업시간이 1일 3시간 이하일 때는 +10dB을, 3시간 초과 6시간 이하일 때는 +5dB을 규제기준치에 보정한다. 

5. 발파소음의 경우 주간에만 규제기준치(광산의 경우 사업장 규제기준)에 +10dB을 보정한다. 

6. 삭제 <2019. 12. 31.>

7. 공사장의 규제기준 중 다음 지역은 공휴일에만 -5㏈을 규제기준치에 보정한

다. 가. 주거지역

나. 「의료법」에 따른 종합병원, 「초ㆍ중등교육법」 및 「고등교육법」에 따른 학교, 「도서관법」에 따른 공공도서관의 부지경계로부터 직선거리 50m 이내의 지역

8. “동일 건물”이란 「건축법」 제2조에 따른 건축물로서 지붕과 기둥 또는 벽이 

일체로 되어 있는 건물을 말하며, 동일 건물에 대한 생활소음 규제기준은 다음 각 목에 해당하는 영업을 행하는 사업장에만 적용한다. 가. 「체육시설의 설치ㆍ이용에 관한 법률」 제10조제1항제2호에 따른 체력단련장업, 체육도장업, 무도학원업, 무도장업, 골프연습장업 및 야구장업

나. 「학원의 설립ㆍ운영 및 과외교습에 관한 법률」 제2조에 따른 학원 및 교습소 중 음악교습을 위한 학원 및 교습소

 다. 「식품위생법 시행령」 제21조제8호다목 및 라목에 따른 단란주점영업 및 유흥주점영업

 라. 「음악산업진흥에 관한 법률」 제2조제13호에 따른 노래연습장업

 마. 「다중이용업소 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 시행규칙」 제2조제3호에 따른 콜라텍업

2. 생활진동 규제기준

2023-11-10_오후_1-34-05.jpg


비고

1. 진동의 측정 및 평가기준은 「환경분야 시험ㆍ검사 등에 관한 법률」 제6조제1항 제2호에 해당하는 분야에 대한 환경오염공정시험기준에서 정하는 바에 따른다. 

2. 대상 지역의 구분은 「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」에 따른다. 

3. 규제기준치는 생활진동의 영향이 미치는 대상 지역을 기준으로 하여 적용한다. 

4. 공사장의 진동 규제기준은 주간의 경우 특정공사 사전신고 대상 기계ㆍ장비를 사용하는 작업시간이 1일 2시간 이하일 때는 +10dB을, 2시간 초과 4시간 이하일 때는 +5dB을 규제기준치에 보정한다. 5. 발파진동의 경우 주간에만 규제기준치에 +10㏈을 보정한다